모두의 네트워크 9

[모두의 네트워크] 9장 무선 랜 이해하기

35. 무선 랜의 구조 유선 랜 (유선 랜 케이블이 필요함) vs. 무선 랜 (랜 케이블이 필요 없음) 무선 랜 구성 요소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 무선 공유기, 무선 AP라고도 부름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무선 랜 칩(chip)과 무선 랜 어댑터(adapter)가 필요 무선 랜 칩: 대부분의 컴퓨터가 내장하고 있음 무선 어댑터의 종류: USB 메모리 방식, 컴퓨터 카드 방식 무선 클라이언트(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무선 랜을 연결하는 방식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방식: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 주로 사용하는 방식 애드훅(Ad Hoc) 방식: 무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 무선 랜 규격 무선 랜은 I..

[모두의 네트워크] 8장 네트워크의 전체 흐름 살펴보기

32.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OSI 모델 계층 역할 응용 계층 (세션 계층과 표현 계층 포함)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필요함 전송 계층 목적지에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필요함 네트워크 계층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필요함 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필요함 물리 계층 데이터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데 필요함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할 때부터 웹 서버에 도착할 때까지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전체 흐름 컴퓨터의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 (OSI 캡슐화) 3-way handshake는 이미 완료되어 연결이 확립되어 있다고 가정 0.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캡슐화 시작 응용 계층:..

[모두의 네트워크] 7장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7장 응용 계층 :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28. 응용 계층의 역할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 응용계층: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하기 위해 통신 대상이 이해할 수 있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전송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계층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버에서 사용하는 서버 프로그램 간의 통신은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을 사용함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 HTTP: 웹 사이트 접속 DNS: 이름 해석 FTP: 파일 전송 SMTP: 메일 송신 POP3: 메일 수신 OSI 모델의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기술 29. 웹 서버의 구조 (웹 사이트 접속) WWW (W3): 웹 HTML: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태그 기반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HT..

[모두의 네트워크] 6장 전송 계층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하기

23. 전송 계층의 역할 전송 계층: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 전송 계층의 기능 오류 점검 기능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 전송 계층의 특징 신뢰성/정확성: 데이터를 목적지에 문제없이 전달하는 것 → 연결형 통신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효율성: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 → 비연결형 통신 → UDP(User Datagram Protocol) 24. TCP의 구조 TCP: 연결형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를 목적지에 문제없이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세그먼트(segment) = TCP 헤더 + 데이터 (캡슐화) 연결(connection): TCP 통신에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상의 통신로 TCP 헤더의 ..

[모두의 네트워크] 5장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하기

17.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이더넷 규칙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함 →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인터넷이나 다른 네트워크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음 네트워크 계층: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계층 랜 안에서는 MAC 주소만으로 통신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IP 주소가 필요함 IP 주소: 어떤 네트워크의 어떤 컴퓨터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 라우터(router):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가장 좋은지 알려주는 장비,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동신을 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함 라우팅(routing): 경로를 선택하고 목적지 IP 주소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

[모두의 네트워크] 4장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12.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 일반적으로 이더넷 규칙 사용 이더넷(Ethernet)은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으로 주고받기 위한 규칙 이더넷은 데이터 충돌을 막기 위한 규칙으로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데이터를 보내는 시점을 늦추는 방식)을 사용 CS는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는 컴퓨터가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하는 규칙, MA는 케이블에 데이터가 흐르고 있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내도 된다는 규칙, CD는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규칙 현재는 스위치(switch)로 대체됨 13. MAC 주소의 구조 MAC 주소: 랜 카드..

[모두의 네트워크] 3장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9.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전기 신호의 종류 아날로그 신호: 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연속적인 전기 신호 디지털 신호: 비연속적인 전기 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상배당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0과 1의 비트열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됨. 상대방이 받은 저기 신호는 다시 0과 1의 비트열로 복원됨 0과 1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랜 카드가 필요함 물리 계층: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고,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계층 10.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의 종류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 실드로 보호되어 있지 않아 외부 노이즈의 영향을 쉽게 받음 STP(Shielded Twis..

[모두의 네트워크] 2장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6. 네트워크의 규칙 프로토콜: 통신하기 위한 규칙 7. OSI 모델과 TCP/IP 모델 OSI 모델 ISO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국제 통신 표준 규격, 모든 통신 규격의 기반, 7계층(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음 OSI 모델 각 계층의 역할 계층 이름 설명 7계층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 이메일 & 파일 전송, 웹 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 6계층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프레젠테이션 계층) 문자 코드, 압축, 암호화 등의 데이터를 변환 5계층 세션 계층(Session Layer) 세션 체결, 통신 방식을 결정 4계층 전송..

[모두의 네트워크] 1장 네트워크 첫걸음

1. 네트워크의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간의 연결 인터넷: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 패킷: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작은 데이터 조각 큰 데이터는 작은 패킷으로 분할함 대역폭(bandwidth):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 2.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컴퓨터는 0과 1밖에 이해하지 못함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0과 1)를 비트(bit)라고 하며, 비트 8개를 1 바이트(btye)라고 함 숫자와 문자의 대응표를 문자 코드(character code)라고 함 ASCII 코드 3. 랜(LAN)과 왠(WAN) 랜(Local Area Network, LAN):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