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분산 아키텍처 설계 3

[대규모 분산 아키텍처 설계] 3. 시스템 아키텍처 디자인

3.1 시스템 아키텍처의 구성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레퍼런스 아키텍처, 아키텍처 원칙들과 디자인 패턴을 참고하여 4개의 아키텍처로 나누어 설계한다.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테크니컬(인프라) 아키텍처 솔루션 아키텍처 데이터 아키텍처 3.2 Architecture Principals 아키텍처 설계의 원칙이며, 비용, 비기능적인 설계 원칙이다. 디자인 의사 결정이 필요할 때 의사 결정의 기준이 되며, 7~15개 정도가 적절하다. ex) 개인 스토리지 서비스 Architecture Principals 퍼블릭 클라우드 (아마존, MS)에 종속성이 없으며, 기업내(On-Prem) 배포가 가능해야 한다 미국 정부 수준의 보안 수준을 충족해야 한다 글로벌 서비스를 충족해야 한다 모바일, PC 등 멀티 디바이스를..

[대규모 분산 아키텍처 설계] 2. 비즈니스 아키텍처 설계

2.1 비즈니스 아키텍처 정의 ❗ 비즈니스 아키텍처: 개발자들에게 개발의 당위성을 제시해주는, 기획 전체의 subset 2.1.1 비즈니스 아키텍처의 ToC 서비스에 대한 소개 시장 현황과 차별화 전략 투자 및 수익 정보 (비용 정보) 주요 기능에 대한 흐름 시스템에 대한 간략한 전체 구조 사용자에 대한 도메인 모델 비즈니스 로드맵과 일정 ⇒ MRD (Market Research Description)과 PRD (Product Research Description)의 요약 2.2 비즈니스 아키텍처 정의 1. 서비스 모델 정의 1~2장 정도의 사업 계획서와 같은 형태로 작성한다. 2. 시장 현황 분석 시장 크기, 경쟁사 분석을 수행한다. 경쟁 제품 분석을 통해서, 당사 서비스에 대한 기준을 수립한다. 3...

[대규모 분산 아키텍처 설계] 1. 아키텍처 설계 프로세스

1.1 아키텍처의 정의 아키텍처는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정의한 문서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와, 그 컴포넌트간의 관계, 그리고 컴포넌트가 다루는 정보(데이터)를 정의 아키텍처는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기술로 해석해 놓은 것이다. 팀의 수준에 맞게, 팀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그러나 모든 내용을 담아야 한다. 1.2 아키텍처 설계 방법론 1.3 아키텍처 설계 프로세스 1.4 아키텍트 1.4.1 아키텍트란? Translator (비즈니스 → 기술) Director (개발의 방향을 정의, 지도/청사진을 만드는 사람) 1.4.2 아키텍트의 종류 EA (Enterprise Architect) : 비즈니스와 기술 사이. 전략 수립 AA (Appl..